栢江 위성록/장흥위씨 씨족문화연구위원

장흥군 부산면 유량리 317번지(유량양촌2길 33) 신현마을에는 금계사가(金溪祠)가 위치한다. 본 사우의 성관(姓貫)은 인천李氏이며, 장흥파의 성지(聖地)이다.

인천이씨의 유래는 득성조(得姓祖) 이허기(李許奇)가 소성부(지금의 인천)의 동쪽 소래산 아래에 거주했으며 검(儉)과 파(波), 귀(貴)와 준(俊)은 대대로 신라의 대관이 되어 소성백(邵城伯)을 습봉(襲封)하였다. 그로부터 선대의 어른들이 인천지방에 세거하면서 토호문신세력으로써 복록 가문의 영달을 누리게 되었다. 득성조로부터 10세에 내려와 이허겸(李許謙)을 1세조로 하여 인천이씨 세보(世譜)를 본관조(本貫祖)로 삼았다. 시조 이허겸은 고려 1024년(현종 15) 尙書左僕射上柱國邵城縣開國侯에 추증되었다. 이후 시중공파(8세 作臣), 공도공파(14세 文和), 쌍명재공파(7세 仁老), 충강공파(澄玉)로 상계 분파되어 번손하였다. 오늘날 전국 종원 수는 8만여명에 이르며 이중, 공도공 후손이 70% 가량을 차지한다.
금계사는 1788년(戊申 정조 12) 향의 제발에 의해서 공도공(恭度公) 이문화(李文和)의 학덕을 추모하기 위하여 부산면 금장마을에 창건하여 향사하였다. 1868년(戊辰 고종 5) 대원군의 서원훼철령에 따라 훼철 되고 1899년(己亥) 향중 유론에 따라 1901년(辛丑) 축단복설하고 청강(淸江) 이 승(李 昇), 만수재(晩守齋) 이민기(李敏琦) 선생을 추배하여 옛터에 유허비를 세웠다. 1951년(辛卯) 유론이 제발하여 강당과 관리사옥을 중건하고 1954년(甲午) 사우와 내삼문을 중건하여 위패를 봉안하였다. 이후 1959년(己亥) 유허비를 세웠으나 1981년(辛酉) 8월 애그니스 태풍으로 인해 사우 및 부속건물 일체가 유실되어 원래의 터에 복건 할 수 없게 되자 신현마을 수의부위공(19세 貴秀) 재실 칙효재(則孝齋) 위에 옮겨 건축하기로 하였다. 1982년(壬戌) 신실, 내삼문, 강당, 외문을 신축하여 위패를 봉안하여 매년 음 3월 13일 지역 유림의 주관으로 제향한다. 이후 1990년(庚午) 강동현감(江東縣監)을 지낸 이신립(李信立)을 추배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배향된 인물의 행장을 살펴본다.

■ 주벽 恭度公 이문화(14세 1358~1414) 선생 : 자는 伯仲, 호는 烏川으로 고려 상서공 자상(子祥)의 후이며, 평장사 문정공 이지저(1092~1145)의 8대손이다.

1380년(우왕 8) 문과에 장원하여 경상도사를 지냈다. 고려 말 정난을 보고 벼슬을 버렸다. 조선이 건국되자 좌간의대부로서 경기도, 전라도, 경상도 안렴사(安廉使)를 지냈으며, 조선 초기 유학진흥에 功이 컸다. 내직으로 도승지를 역임하고 첨서의흥삼군부사(簽書義興三軍府事)에 임명되어 명나라 사신으로 다녀왔다. 1400년(태종 1) 사평부(司平府) 우사(右使)를 거쳐 예문관 대제학에 제수되고 경상도 관찰사, 예조판서를 역임하고 참찬의정부사에 이르렀다. 사후 공도(恭度)라 시호가 내리었고 영의정에 추증되었다. 장흥군 금계사(金溪祠), 대구광역시 숭덕사(崇德祠), 함안군 도천사(道川祠)에 배향되었다.

■ 淸江 이 승(24세 1556~1628) 선생 : 자는 경첨(景瞻), 호는 청강(淸江)으로 공도공(文和) 10대손, 율정(栗亭) 두(斗)의 손이다.
1606년 증광 진사시에 입격하였다. 선생은 충효정신을 兼備하였으며 지절이 고상하고 간사한 무리와 흉도들을 잘 타일렀으며 우산(牛山) 안방준과 벗하고 이괄의 난 때 창의모병 하였다. 난이 평정되어 상서원(尙書院) 직장에 제수되었으나 나아가지 아니하고 정자를 지어 독역재(讀易齋)라 명명하고 성리학을 전심 탐구하여 대성하니 사림이 받들어 스승으로 모셨다.

■ 晩守齋 이민기(27세 1646~1704) 선생 : 자는 경징(敬徵), 호는 만수재(晩守齋)이다.
노봉(老峰) 민정중(1628~1692)의 문인이며, 1681년 생원시에 입격하였다. 이후 고암서원 건사소(建祠疏)를 냈으며 이듬해 비봉서원 박세채(朴世采) 배향청소(配享請疏)도 냈다. 세인들이 선생에게 과거보기를 권했으나 불응하고 만수마을에 퇴은하여 학구에 전념하면서 1698년(숙종 24) 연곡선원(淵谷書院) 창건을 주도하였다. 학덕이 정수(精粹)하고 경세에 밝아 지방사정을 구체적으로 적시한 민막소(民?疏), 진황소(賑荒疏), 개량소(改良疏) 등이 문집에 남아 있다. 1988년(戊辰) 장흥군 연곡서원(淵谷書院)에 배향되었다.

■ 江東 이신립(25세 1595~1672) 선생 : 자는 계연(季然), 호는 강동(江東)이며 공도공(文和)의 11대손, 윤정(允禎)의 현손, 호(昊)의 자이다. 무과에 급제하여 1624년 이괄의 난 때 형 충립과 진무공신에 훈록되고 통정대부로 성천첨절제사와 강동현감을 지냈다.

신실(神室)은 3칸으로 1982년(辛酉) 11월 5일 신축하였다.
액호 편액은 담당(澹堂) 송우용(宋友用 은진人, 1884~1968, 충북 영동군 출신) 선생이 썼으며, 금장마을 기존 신실에서 옮겨 걸었다.

내삼문(內三門)은 상덕문(尙德門)으로 1982년(辛酉) 11월 9일 신축하였다.

액호 편액은 술재(述齋) 정채균(丁采均 나주人 1929~1983)이 썼다.
※ 술재(述齋)는 장성군 성산리 태생으로 서예에 조예가 깊고 문화에 관심이 많았다. 관산읍 당동마을 태생 만취(晩翠) 위계도(1926~1999) 선생의 문하생이다. 전남도청 총무과장을 거쳐 제 21대 강진군수를 1976년 1월~1979년 5월 3일간 3년4개월 역임하면서 다산유적지 성역화, 청자 재현, 김영랑 생가 복원, 마량 소재지 공유수면 매립, 강진읍 토지 구획 정리, 강진군청 청사 설립 등 큰 업적을 남겼다. 광주시부시장 재임 때 불의의 교통사고로 별세하였다.

금계사강당(金溪祠講堂)은 1989년(己巳) 6월 3일 5칸으로 신축하였다.

액호 편액은 아당(峨堂) 이성우(李性雨 경주人, 1945년생 충남 공주)가 썼다.
강당 내에 걸려 있는 금계사강당기(金溪祠講堂記)는 1990년(庚午) 1월 하순 병주(屛洲) 이종락(李鍾洛 경주人, 1936년생 충남 공주) 근기(謹記)하다.

금계사강당상량문(金溪祠講堂上梁文)은 1991(辛未) 12월 청파(靑坡) 이종선(李鍾宣 경주人, 1928~2011 충남 공주) 근술(謹述)하다.

화수동근(花樹同根)과 청풍백세(淸風百世)글은 문중화합과 번영의 뜻으로 후손 춘사(春史) 이영숙(1932년생, 용산면 접정)이 썼다.

외문(外門)은 이이문(怡二門)으로 1989년(己巳) 7월 26일 신축하였다.

액호 편액은 1990년(庚午) 우수절 아당(峨堂) 이성우(李性雨)가 썼다.
※ 금계사에 편액을 남긴 충남 공주 태생 이종선과 이종락은 형제간이며, 이성우는 이종선의 아들이다. 3분이 강당을 신축할 당시 참여하여 편액을 남기게 된 연유는 인천이씨 청양파 이석규와 대구파 이태상의 주선으로 편액 글을 남기게 되었다. 현재 이성우는 한학자로 활동하면서 널리 알려져 있다.

경내 마당 한쪽에 있는 금계사 강당 건립 헌성비는 1990년(庚午) 3월 세웠다.
외문 좌측에는 금계사이건비(金溪祠移建碑), 운남이공진원기적비(雲楠李公鎭源紀績碑), 후손이득배기적비(後孫李得培紀績碑)가 세워져 있다.

금계사이건비(金溪祠移建碑)는 1982년(壬戌) 9월 하순 겸산(兼山) 안병탁(죽산人 1903~1994 장흥읍 건산리 태생, 구례군 문척면 토금리 거주) 근찬(謹撰)하다. 술재(述齋) 정채균(나주人 1929~1983)이 근전서(謹前書)하다. 경광(炅光) 김성환(영광人 1928~?) 근후서(謹後書)하다. 1983년(癸亥) 봄날 인천이씨 문중에서 근수(謹竪)하다.

운남이공진원기적비(雲楠李公鎭源紀績碑)는 1976년(丙辰) 4월 장흥문중에서 세웠다.
※ 운남(雲楠) 이진원(33세 1900~1987)은 장흥읍 월평태생으로 제3대 장흥향교 전교를 역임하고 경기도 광주시 숙동에 위치한 공도공(文和) 묘소가 도시개발 됨에 따라 1971년(辛亥) 천안시 구성동으로 이장(移葬) 및 묘각 오천재(烏川齋)를 이건(移建)하는 등 공도공 후손을 대표하여 문중사를 주도하였다.

후손 이득배기적비(後孫李得培紀績碑)는 1982년(壬戌) 늦봄 장흥문중에서 세웠다.
※ 우원(友垣) 이득배(1934~1985)는 관산읍 방촌리 태생으로 15세 때 부산에 정착하여 인고의 생활을 거쳐 선구업(船具業) 신흥상사를 창업하였다. 18, 19, 21대 재부호남향우회장을 맡아 고향사랑을 몸소 앞장서 실천하였다. 이후 1976년 갖은 노력으로 운송보관업과 토공사업, 수중공사업 등을 목적으로 흥우산업(興友産業)을 설립하였다. 고향 관산읍에 우원장학회를 창립하여 후진양성과 장흥군청 등 여러기관에 헌성과 기증을 하였으며, 금계사 이건(移建)시 거금을 희사하여 문중발전에 공헌하였다. 현재의 흥우산업은 차자 이철승(1958년생)이 경영하여 부산의 중견 기업체로 성장하였다. 우원장학재단 설립 운영 등 友垣의 뜻을 받들어 사회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강당 우측에는 4칸의 묘각 칙효재(則孝齋)가 위치한다.

장흥파 파조인 15세 이효지의 현손이자 장흥 입향조인 19세 수의부위공(貴秀)의 재실이다. 매년 음 10월 15일 16세 봉선대부공(成諧), 17세 봉익대부공(椽), 18세 봉정대부공(淸吉), 19세 수의부위공(貴秀) 등 4위 시제를 모신다. 재실 뒤 야산에는 3위 단소와 수의부위공의 묘소가 위치한다. 지난날에는 단소에서 시제를 모셨으나 현재는 재실에서 모신다.

공도공파 파조 14세 이문화(李文和)는 여섯 분의 아들을 두었다. 15세 첫째 孝仁(대구ㆍ용인ㆍ삼가), 둘째 孝義(함안ㆍ창원), 셋째 孝禮(청양ㆍ안의), 넷째 孝智(장흥ㆍ김천), 다섯째 孝信(부여ㆍ금산), 여섯째 孝常(경주)으로 각각 분파하였다. 이중, 장흥파는 파조 15세 효지(孝智)~16세 성해(成諧)~17세 연(椽)~18세 청길(淸吉)~19세 귀수(貴秀)로 이어지며, 귀수(貴秀)는 장흥의 입향조 이다.

귀수(貴秀)는 세분의 아들을 두었다. 20세 첫째 적(適), 둘째 달(達), 섯째 우(遇)다. 이중, 적(適)은 명교파(明敎派)로 보성군 회천면 명교리, 달(達)은 용계파(龍溪派)로 보성군 회천면 신리, 장흥군 부산면 용반ㆍ금장, 완도군 금일읍 사동, 장동면 만년ㆍ용곡, 장평면 축내ㆍ청룡ㆍ우산ㆍ봉림ㆍ용강, 관산읍 지정 등, 우(遇)는 남면파(南面派)로 장흥군 용산면 어서, 회진면 덕산, 장동면 만수, 용산면 금곡ㆍ어서ㆍ묵촌ㆍ접정, 관산읍 신동 등에 각각 세거하면서 대분파 하고 성촌되어 오늘에 이른다.

금계사는 신실 1동, 내삼문 1동, 강당, 1동, 외문 1동, 묘각 칙효재 1동, 관리사옥 1동, 강당건립헌성비 1기, 이건비 1기, 기적비 2기 등으로 조성되어 있다. 재원(財源)은 논 90두락, 임야 8정이며 인천이씨 장흥종회 소유로 관리되고 있다.

후손들 중, 현대의 대표적 인물은 이진원(제3대 장흥향교 전교, 월평), 이수평(제6대 장흥향교 전교, 월평), 이병교(제10대 장흥향교 전교, 금장), 이경근(제16대 장흥향교 전교, 월평), 이남기(제19대 장흥향교 전교, 용곡), 이충근(제23대 장흥향교 전교, 월평), 이화근(제30대 장흥향교 전교, 축내), 이춘흠(진도군수, 청룡), 이영권 3선 국회의원(어서), 이득배(흥우산업 회장, 지정), 이창주(동양화가 조선대 미대학장, 우산), 이태균(제35대 장흥향교 전교, 금장), 이금찬(장흥군의회 의원, 접정), 이문갑(서예가, 묵촌), 이길온(국민건강보험공단 호남ㆍ제주본부장, 만년), 이남주(광주법원 서기관, 완도군), 이병량(장흥군의회 의원, 축내), 이정빈(서울대 의학박사, 용반), 이성관(아동문학가, 만년), 이명흠(장흥군수, 용곡), 이봉준(서예가, 만수), 이남석(회령농협조합장, 명교), 이봉렬(부천세무서장, 만수), 이한성(시조시인, 접정), 이재주(서울법원 이사관, 접정), 이진성(헌법재판소장, 용곡), 이승옥(강진군수, 용곡), 이병혁(문학박사, 접정), 이승우(소설가, 신동), 이기명(물리학박사 서울대 교수, 용반), 이종민(서예가, 만년), 이충식(전남도의회 의원, 어서), 이승련(부장판사, 어서), 이상현(부장판사, 어서), 이대흠(시인, 만수) 등 이다.

찾아가는 길은 부산면 소재지 삼거리에서 부유로를 이용하여 유량리 신현마을 입구 삼거리까지는 1.7km 소요된다.

삼거리 우측에는 금계사 표지석이 세워져 있다. 여기서 우회전하여 300m 가면 좌측에 금계사가 위치한다.

자문 : 인천이씨 장흥종회 고문 춘사(春史) 이영숙(37세 1932년생, 용산면 접정리 새터 거주), 장흥종회 총무 우송(友松) 이영록(37세 1951년생, 용산면 어서마을 거주)

저작권자 © 장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