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흥군은 ‘문학관광기행특구’로 지칭되고 있다. 2008년에 지정된 이 특구의 개념은 한 지역이 특산물이 아닌 ‘문학’의 정체성을 특구화하여 대내외적으로 선양하였다는데 큰 의미가  있다. 그만큼 장흥의 문학은 정연하고 당당한 문맥이 이어지고 있으며 문학자원 또한 그 질량의 풍성함이 여타의 지역에 우선 하고 있다. 그래서 장흥의 문학, 문학사, 문학자원은 전국에서 가장 주목받는 지역으로 회자되고 있다.
이렇듯 차별성 있는 장흥의 문학 그 문맥의 시원을 논할 때는 어김없이 ‘장흥의 가사문학’과 이어서 기봉 백광홍의 관서별곡이 등장한다. 국문학사에서 ‘기행서경가사’의 효시로 일컬어 지는 기봉의 관서별곡은 장흥 문학의 자긍심이다.
이러한 기봉의 문학적 업적은 2004년 문화관광부에서 6월의 문화인물로 선정하여 일련의 연구 작업을 진행하였다. 더불어 ‘기봉백광홍선생기념사업회’를 창립하여 지속적으로 기봉의 문학을 선양하고 연구하는 단체로 활동을 하여 왔다.
‘기념사업회’에서는 기봉집 국역 및 출판 기봉의 연구, 학술 자료 간행, 기봉 문학의 상징 조형물 제작 설치, 전국 대상가사문학작품공모 및 시상 학생 백일장, 가사문학 현장 문학기행 등 다양한 사업을 전개하여 왔다.
2020년의 사업으로는 장흥 지역에서 가장 전통이 있고 유료 구독자가 많은 주간신문인 장흥신문과 연계하여 “장흥의 가사문학 다시 읽기-기봉 문학을 중심으로”라는 테마로  지면을 할애 받아 연재할 계획이다.
이 사업으로 장흥군민과 문학관광기행특구 장흥에 관심있는 독지와 문학도들에게 장흥의 문학사와 가사문학 기봉 백광홍의 문학적 업적을 ‘다시 읽는’ 계기가 될 것으로 여겨진다. 이 사업은 기념사업회의 자부담과 장흥군의 지원으로 진행된다.◀◀◀

오언고시(五言古詩)Ⅰ, 칠언절구(七言絶句)Ⅱ

●석천 선생의 매죽당 시에 삼가 차운하다 
敬次石川先生梅竹堂韻
서쪽 담장 백 개 열 개 대나무 줄기
西墻百十竿
하나하나 푸른 옥이 시원하구나.
箇箇碧玉凉
높은 자태 두 그루 매화 잇닿아                     
風標連雙梅
해맑은 연못가에 그림자 잠겨.                      
蘸影淸池傍 
그 속에 옛 것을 좋아하는 이                          
中有喜古子
온 집은 고요한데 향을 사르네.                      
一堂靜焚香
눈 속 달빛 높은 뜻 쏟아내는데                      
雪月瀉高懷
오래된 진한 술을 꺼내 오누나.                       
綠醑開舊藏
한 잔만 마셔도 취할 수 있어                        
一觴亦可醉
술 취해 무하향(無何鄕)에 들어가리라.            
醉入無何鄕
죽림칠현 무리들을 소리 쳐 불러                   
大呼竹林徒
서호의 집에서 함께 누으리.                         
共臥西湖庄
역양 오동 깎아 만든 거문고 타니                   
更調嶧陽桐
귀 가득 양양한 소리 들린다.                         
盈耳乎洋洋
다시금 삼천년을 지낼 만하여                        
還當三千春
훈풍 드는 내 집서 연주하노라.                      
奏我薰風堂

●군옥을 대신하여 가애의 소매에 적어 주다
  -이름은 은옥이다
代君沃題可愛袖[名銀玉]
지난 날의 철옹성이                                    
昔日鐵瓮城
지금은 태화정(太華井)이 되었네.                    
今爲太華井
부용꽃이 그 속에서 피어나오니                      
芙蓉生其中
은실에 녹옥(綠玉)으로 자루를 했지.                
 銀絲綠玉柄
깨끗하여 나비도 찾기 어렵고                         
皎潔蝶難尋
벼랑이라 안개 눈이 어둡기만 해.                     
層崖烟雪瞑
원컨대 꽃 다스리는 어사가 되어                      
願爲花御史
가고 가서 꼭대기에 다다르리라.                      
去去窮絶頂
가애(可愛)는 차마 버릴 수 없어                     
可愛不可捨
천년간 연단 솥을 단련하누나.                        
千年鍊丹鼎
  *‘결(潔)’은 ‘질(質)’로도 쓴다. [潔一作質]

●김몽언의 시에 차운하여
次金夢彦韻
쟁글쟁글 오래도록 노래 않으매                       
丁丁久不歌
선듯선듯 이아(爾雅)는 시들어가네.                  
習習傷爾雅
아득히 천년을 격하여 있어                             
悠悠隔千載
지사(志士)는 오로지 탄식만 한다.                    
志士惟嘆吒
오래 서로 공경함과 믿고 뽐내지 않음               
久敬與不挾
그 누가 안영(晏嬰)ㆍ맹가(孟軻) 능히 배우리.        
誰能學晏軻
쫓아 노님 말 멍에함 즐겨하나니                      
追遊喜輿馬
기운과 뜻 술잔에 넘쳐흐른다.                           
氣義繁醆斝    
김군은 속되지 않은 선비라                            
金君不俗者
회포 맡겨 나를 두고 괜찮다 하네.                    
托懷云我可
바다 구름 서편에서 서로 만나서                       
相逢海雲西
가을 국화 아래서 비파를 탔지.                          
泛瑟秋菊下
저 멀리 읍양(揖讓)의 풍습 따르니                     
遠追揖讓風
군자가 그것을 다투는도다.                              
君子其爭也
높은 노래 늙은 용이 일어나는 듯                      
高歌老龍起
춤 자리로 가벼운 구름 떨어지누나.                    
舞席輕雲墮
사나이는 사업을 귀히 여기고                            
男兒貴事業
큰 둥치는 집 지탱함 기약한다네.                       
巨幹期扶厦
크게 취해 손 나누고 헤어지려니                        
大醉欲分手
산달은 맑은 정자 위로 오른다.                         
山月上淸榭
말 타고 성 동편 제방 나서니                            
跋馬城東堤
기러기는 강과 들에 시끄럽구나.                         
鳧鴈鬧江野
산공(山公)도 한바탕 웃을 만하여                      
山公大可笑
손뼉 치며 길 왼편을 막아서리라.                       
拍手攔道左
다시 노님 맺으려는 생각 있다면                        
有意結重遊
동쪽 집 저는 노새 빌리시게나.                            
東舍蹇驢借

칠언절구(七言絶句)

●송경에서 술에 취해 읊조리다
松京醉詠
만월대 가에서 한 잔 술 기울이니                    
滿月臺邊把一盃
오백년 옛 터전에 피리 소리 구슬퍼라.             
半千基業笛聲哀
그 누가 당시 일을 알아들을 사람인가              
誰人認聽當時事
궁전도 황량해라 잡초에 묻혀있네.                   
宮殿荒凉但草萊

●자하동
紫霞洞
궁궐 지는 해에 황량한 연기만이                     
宮城落日但荒烟
번화한 오백년이 눈 깜짝할 사이로다.              
鱉眼繁華五百年
강개한 맘 누굴 조차 술 한 번 취해 보나           
慷慨誰從拚一醉
자하동 신선에게 흥망 물어보리라.                  
興亡欲問紫霞仙

●화담을 지나면서
過花潭
송악산 앞머리에 객의 수레 머물리고
 松岳山前駐客驂                                        
한 잔 술 마주 하니 슬픈 얘기 뿐이로다.          
一樽相對摠悲談
화담 주인 가고 없고 물만 흘러 가는구나          
花潭人去空流水
드넓은 우주에서 누굴 지남(指南) 삼으리오.      
宇宙悠悠孰指南

●부벽루
浮碧樓
저물녘 능라도에 그림배를 대고서                                                         
晩向綾羅泊畵船
어여쁜 풍광 속에 부벽루를 취해 찾네.             
醉尋浮碧好風烟
이 좋은 곳 와서 노님 지금껏 적었거니             
玆遊奇絶從來少
게다가 봉래서 온 신선 하나 있음에랴.             
更有蓬萊降一仙

●회포를 읊조리다
詠懷
고향 땅 꽃 일은 한봄 내내 어긋나서                 
故鄕花事一春違
소반 앵두 오르도록 여태도 못 갔구나.              
盤薦櫻桃尙未歸
작은 동산 대나무 순 웃자랐을 생각하니             
忽憶小園新竹長
주렴 밖 보슬비에 비단 옷이 두텁도다.            
一簾微雨錦衤朋肥
 다시 연경 가는 김형언을 전송하며               
送金亨彦再赴燕京
청천강 배 위에서 예전 헤어질 적엔                   
昔別晴川江上舟
푸른 버들 꽃다운 풀 마음만 아득했지.               
綠楊芳草意悠悠
지금의 눈앞 경치 변함 없이 그대론데               
秖今風物渾依舊                    
그 누가 큰 술잔에 객수를 위로하리.                 
誰勸深盃慰客愁

●송경 가는 길에 김정중을 만나서(2수)
  -이름은 희련이다
松京道中遇金精仲[ 名希錬 二首 ]
1
고향 땅 봄 깊은데 나그넨 집 못 가니                
故國春深客未歸
석양에 이별 한이 곱절이나 삼삼하다.                
夕陽離恨倍依依
그대여 고려 적 일 묻지를 마시게나.                  
憑君莫問前朝事
황량한 터 나무 늙어 백 아름도 더 된다오.          
樹老荒臺已百圍

2
우리 모두 하늘가서 나그네 근심인데                 
俱是天涯客裏愁
북궐의 소식은 이미 지난 가을일세.                    
北闈消息已前秋
이제 와 또 다시 관하에서 이별하니                   
從今又作關河別
눈 가득한 황량한 터 눈물만 흐르누나.                
滿目荒臺淚欲流

●천수문
天水門
천수문 앞으로 봄날 해는 기울고                        
天水門前春日斜
나그네 돌아보면 묏부리만 어지럽다.                   
客程回首亂峯多
예로부터 영웅들이 마음을 상하던 곳                   
英雄從古傷心地
몇 번이나 금릉 향해 외상 술을 찾았던고.              
幾向金陵喚酒賖
                                  

●총수산(2수)
蔥秀山 二首
1
총수산 밑자락을 취중에 지나가니                       
蔥秀山前醉裏過
부딪치는 냇물 소리 꿈속에도 자옥하다.                
溪聲激激夢中多
우인(郵人)이 쌍비(雙碑) 있다 풀어서 말하길래      
郵人解道雙碑在
말 타고 올라 보니 해가 하마 저물었네. 
2
운강(雲岡)과 장공(章貢)은 중국의 호걸인데          
雲岡章貢中朝傑
바다 밖에 남긴 이름 단지 작은 비석일세.             
海外留名只短碑
만리 밖 기름 바른 장막 속 선비 하나                  
萬里靑油幕下士
저물녘 여관에서 또한 시를 짓노라.                    
夕陽孤舘亦題詩

                                                                                        ▲/정리,편집=昊潭

▲장흥을 대표하는 가사문학의 저자 백광홍의 출생지 기산마을...
저작권자 © 장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