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여름, 토굴 뒤란 언덕 위의 죽로차 밭 관리하기는 내 운명 길 바꾸어가기나 다름없다. 죽로차 밭 가꾸기는 여느 차밭 가꾸기보다 더 힘들다. 어린 차나무들 주위에 솜대나무의 죽순들이 아우성치며 밀고 올라오기 때문이다. 굵은 죽순들만을 건성드뭇하게 남겨 두고 다른 것들을 쳐내주는 작업을 끈질기게 하지 않으면 이 해 안에 다시 빽빽한 솜대 밭이 되어 버리고 말 터이다. 차나무는 반음지 반양지를 좋아한다. 솜대나무들이 빽빽하게 자라버리면 차나무들이 호리호리해진 채 제구실을 못하기 마련이다.

초여름부터 가을까지는, 아침 식전이나 해저물녘에 부지런히 차밭의 잡초들을 베어주어야 한다. 아내는 차나무 주위의 풀들을 낫으로 쳐내고 나는 풀 베는 기계로 그 근처의 창처럼 솟아오르는 죽순들과 육손이덩굴과 쑥대와 씀바귀 풀들을 쳐낸다. 이때 나는 ‘장자(莊子)’의 백정이 잘 벼린 칼로 소의 살과 뼈를 바르듯이 한다. 정신을 조금만 딴 데 쓰면, 풀 베는 기계의 날이 어린 차나무를 잘라버리기도 하고, 썩은 대 등걸이나 돌부리를 가르기도 하여, 대조각과 돌가루가 내 얼굴과 가슴을 향해 날아온다.

장마철을 전후해서는 사력을 다해 자라나는 그 풀들과 전쟁을 치러야 한다. 마치 내 운명의 앞길을 가로막거나 덮어버리려 하는 세상의 무성한 검은 숲들을 쳐내고 새 길을 열쳐 나가듯이.

풀 쳐내는 작업을 하고 있을 때 한 제자가 찾아왔다. 그때, 나는 예초기 날에 잘린 풀잎이나 대나무 조각이나 돌가루 따위가 얼굴 공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철망 투구를 쓰고 있었고, 땀을 뻘뻘 흘리고 있었다.

“아니, 예초기 운전하시기 힘들고 위험한데, 놉을 좀 사서 하시지 그러십니까?” 제자는 고통스럽게 살고 있는 스승을 진심으로 걱정해주었다. 아내가 그에게 말했다. “돈 주고 부리는 놉이 잡풀 속에 들어 있는 어린 차나무들을 당신처럼 아끼고 사랑해줄 리 없다고 기어이 당신이 저렇게 하신대요.”

저녁을 함께하면서 나는 한 선승의 이야기를 들려주었다.“…그 스님은 꼬부랑 늘그막에 들어서까지 날마다 차밭에 나가 일을 했으므로 젊은 상좌가 이제 그만 일을 하시라고 말렸지. 그런데 그 늙은 선승은 도리질을 하고 ‘나는 스승에게서 하루 일하지 않으면 하루 먹지 말라(一日不作 一日不食)고 배웠느니라.’하고 말했어.”

그 말을 하고나서 어색하게 웃었다. 내가 마치 그 선승의 삶을 흉내 내고 있는 듯싶어 덧붙여 말했다.“나는 사람이 우둔해서, 모든 글을 발로 쓴다. 가마를 타보기만 한 사람은 가마 타는 재미를 제대로 느끼지 못하고, 그것을 메 본 사람이라야 그 재미를 진짜로 느낄 수 있다고 해서 늘 가마를 직접 메 보곤 한다.”

다음 해부터는 이 차밭에서 내가 마실 죽로차를 두어 통쯤 생산할 수 있을 터이고, 그 다음 해에는 네댓 통쯤 딸 것이고, 그 이듬해는 여남은 통 딸 것이다. 아, 얼마나 큰 행운인가. 부부가 함께 가꾼 죽로차 밭에서 부부의 손으로 한 잎 두 잎 따고, 아내가 덖은 것을 내가 비벼 말리고, 그 향기로운 차를 마주앉아 우려 마시게 된다. 농약과 화학비료를 전혀 뿌려주지 않은 진짜 유기농 죽로차의 맛과 향.

참선은 바람벽을 향해 고요히 앉아 화두를 들고 하는 것만이 아니다. 참새 혓바닥 같은 잎사귀 하나하나를 따 모으며, 뜨거운 불 앞에서 덖고 비비며 향기의 삼매에 빠져들고, 그 과정에서 우주 율동을 깨달을 수 있다.

여름철 차나무 우듬지의 자주색 잎사귀는 갓난아이의 고사리 손처럼 예쁘고 귀엽다.600평 죽로차 밭의 주인이 된다는 생각에서가 아니고, 그 어린 잎사귀들의 앙증스러운 모습들 때문에 덥고 힘들어도 그 일을 즐긴다. 솜대 밭의 운명 길을 죽로차 밭으로 바꾸어 놓는다. 이때껏 나는 그렇게 땀을 즐기면서 나의 운명 길을 바꾸어 놓곤 했고, 살아 있는 한 앞으로도 그리할 것이다.
2006-07-05

저작권자 © 장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