伽倻山(가야산)/손곡 이달
중천에 뜬 학은 가을밤에 내리고
천년의 구름은 하늘에 떠가고 있는데
문밖의 물 쉼 없고 무릉 길 알 수 없네.
中天笙鶴下秋宵   千載孤雲已寂寥
중천생학하추소   천재고운이적요
明月洞門流水去   不知何處武陵橋
명월동문유수거   부지하처무릉교

가야산은 선사시대 이래 산악신앙의 대상으로서, 고려팔만대장경판을 간직한 해인사를 품에 안은 불교성지다. 가야산은 민족의 생활사가 살아 숨 쉬는 명산이자 영산이라 일컫는다. 《택리지》에 가야산은 태백산맥과 소백산맥을 떠나 있으면서도, 그 높고 수려함과 삼재(旱災·水災·兵禍)가 들지 않는다고 말했다. 달 밝은 문밖에 물은 쉼 없이 흘러만 가는데, 어느 곳이 진정 무릉으로 가는 길인지 알 수가 없다고 읊었던 시 한 수를 번안해 본다.

천년의 구름은 고요하게 하늘을 떠가고 있구나(武陵溪)로 제목을 붙여 본 칠언절구다. 손곡(蓀谷) 이달(李達:1539~1612)이다. 

작가는 손곡(蓀谷) 이달(李達:1539~1612)로 조선 중기의 시인이다. 어려서부터 문장에 능하여 선조 때 한림학관이 된 적이 있었는데, 뜻이 맞지 않아 버리고 떠났던 인물로 알려진다. 정사룡에게 두보, 소식의 시를 배웠다 한다. 특히 소식의 시를 좋아해 소식을 본받아 그 정수를 터득했다.

위 한시 원문을 의역하면 [중천에 뜬 학(鶴)은 가을밤에 살며시 내렸는데 / 천년의 구름은 고요하게 하늘을 떠가고 있구나 // 달 밝은 문밖에 물은 쉼 없이 흘러만 가는데 / 어느 곳이 진정 무릉으로 가는 길인지 알 수가 없구나]라는 시상이다.

위 시제는 [가야산 경치를 보며]로 번역된다. 가야산은 합천 해인사를 품에 안고 있는 산이다. 가야산 일대에서 해인사가 있는 치인리에 모이는 물은 급경사의 홍류동(紅流洞) 계곡을 이룬다. 동남방으로 흘러 내려와 가야면 황산리에서 낙동강의 작은 지류인 가야천이 된다. 가야산을 만드는 산맥은 태백산맥과 소백산맥이 덕유산(1,614m)에 이르러 원줄기는 남쪽의 지리산으로 향하는 산이다.

시인은 가야산 정상의 지점에 서서 학이 날아가는 모습을 보면서 천년의 구름이 고요하게 흘러가는 모습 속에서 시통 주머니를 매만지고 있다. 중천에 뜬 학鶴은 가을밤에 살며시 더 내려 앉았는데, 천년의 구름은 고요하게 하늘을 떠가고 있다고 했다. 가을밤을 수놓는 학의 정경을 떠올리더니만, 천년 동안 변함없이 떠가는 구름에 비유하는 시상을 멋을 부린다.

화자는 물이 쉼 없이 흘러내리는 정경과 어느 곳이 진정한 무릉으로 가는 길인지를 묻는다. 달 밝은 문밖에 물은 쉼 없이 흘러만 가는데, 어느 곳이 진정으로 무릉으로 가는 길인지 알 수가 없다고 했다. 칠원현(지금의 경남 함안군 칠원면 일대를 [무릉]으로 불렀다.

위 감상적 평설에서 보였던 시상은 ‘중천 뜬 학 내렸는데 천년 구름 떠가구나, 문밖 물은 흐르건만 무릉도원 어디 인지’라는 시인의 상상력과 밝은 혜안을 통해서 요약문을 유추한다.

【한자와 어구】

中天: 중천. 하늘 한 가운데. 笙鶴: 생학. 생황의 학. 下秋宵: 가을밤에 살며시 내리다. 千載: 천년. 孤雲: 외로운 구름. 已寂寥: 이미 고요하다. // 明月: 밝은 달. 洞門: 동네 문. 동구 밖 문. 流水去: 물이 흘러가다. 不知: 알 수 없다. 何處: 어느 곳. 武陵橋: 무릉의 다리.

저작권자 © 장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